

HOPPKECKE 한국 공식 파트너

(주)세이티엔씨

배터리 충전중 자주 묻는 질문
1. 전동지게차 배터리는 반영구적으로 쓸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데 방전되고 나면 황산과 납이 반응하여 황산납을 만든다. 황산납은 충전하면 다시 황산과 납으로 되돌아 와야 한다. 그런데 일부는 결정체(흰색결정)로 되어서 되돌아 오지 않는데 이것이 극판에 붙어서 배터리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충전으로 해결할 수 없다.
배터리 극판에 붙은 황산납을 제거 분해해주는 것을 말한다.
황산납(흰색결정체로 극판에 붙어 있음)의 제거방법은 전기전자적인 방법으로 특정의 고주파를 가해서 전기적 자극으로 분해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황산납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2. 황화현상 Sulphation는 무엇 인가?
간단하게 말해서 축전지내 납판표면에 서서히 막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 막은 배터리가 충전되는 것을 막고 전류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납축전지는 만든 순간이후부터 바로 황화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러나 황화현상이 서서히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는 어느 날 갑자기 배터리가 작동을 멈출 때까지 그 변화를 감지하지 못합니다. 배터리를 규칙적으로 사용해도 황화가 나타나고 조기에 폐배터리가 됩니다. 황화현상은 자주 충전하지 않는 배터리의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보트, 캠핑카, 캐러밴, 자동차, 건설 기계 및 장비의 배터리 등에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있습니다.
납축전지는 충전 및 방전의 전기화학적 반응과정에서 배터리액이 변환되어 배터리 판에 크리스털막이 필수적으로 형성됩니다. 이는 배터리 성능에 이중의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A) 전해액은 점점 묽어집니다. 요구되는 화학적 과정의 기능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배터리 내 액이 보통 물 정도로 됩니다.
B) 결정의 형태로 배터리 판의 덮어씌웁니다. 이는 표면적 용량을 줄이고 그래서 배터리의 기능할 수 있는 퍼센트를 줄입니다. 즉 50% 황화
는 50%의 배터리 손실을 가져옵니다.
이 과정은 배터리의 생산경계를 만듭니다. 배터리는 서서히 효과적으로 기능 하는 능력을 서서히 잃어 갑니다. 국제 배터리 위원회는 외관상 양호하나 80%의 납축전지가 실제로 폐기된다고 믿고 있습니다.
3. 배터리가 황화 되었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시카고(Chicago)의 국제배터리위원회(BCI; battery council international)의 연구를 보면 납축전지의 79-80%는 납판에 황화물결정이 나타나서 제 수명 훨씬 이전에 폐기하고 있습니다.
황화는 전기화학적 반응입니다. 그리고 배터리의 방전 시에 발생합니다. 정상적인 사용 기간이나 대기 중에서도 배터리의 황산은 극판사이에서 반응을 합니다.
이 반응은 전기 전류의 형태로 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산의 화학적 구성도 변합니다. 고형의 잔류물 lead sulphate을 형성하고 전해액을 물로 바꾸고 밀도를 감소시키도록 납판과 접촉하고 있습니다. 방전하는 동안에 황산은 고체가 되고 전해액은 비중이 낮아집니다.
일정기간동안 배터리를 사용한 후에 충전과 방전을 하는 과정에서 고체의 결정 잔류물은 액체로 다시 변환시켜야 하는데 모든 납 황화물의 100%가 액체로 되돌아오지 않습니다.
어느 정도는 납판에 붙어 있고 또는 배터리의 밑 부분에 가라 앉아 있습니다.(이것을 stratification라고 합니다.)
황화는 납판 표면적을 줄이고 전해액 농도를 묽게 하며 그 결과 전지cell의 전압과 용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황화가 증가하게 되면 내부 충전 저항이 증가합니다. 그리고 저항은 충전 시에 배터리의 온도를 상승하게 합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더욱더 배터리의 건조를 상승하게 합니다. 이것이 배터리 초기 불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지속적인 배터리 황화는 배터리를 점점 약화시키는 것을 심회시키며 결국은 배터리를 폐기시키게 합니다.
4. 황화Sulphated한 배터리는 어떤 증상을 보입니까?
전력전달용량의 부족을 나타납니다. 충전, 방전 시에 온도의 높은 상승이 있습니다.
충전, 방전 시에 많은 수소기포가 발생합니다. 과도하게 물이 소모되고 이것은 배터리를 약화시키고 물이 말라 없어지게 합니다. 충전 하는 동안 배터리의 전압이 높게 오르고 충전기를 중지시킵니다.
5. 전해액의 올바른 높이는 얼마입니까?
충전 전후에 납판의 꼭대기에서 위로 10mm정도입니다.
6. 배터리액을 첨가해야 합니까?
아닙니다. 정상 조건에서 배터리액을 첨가하면 안됩니다. 오직 증류수나 인증된 제품만을 레벨에 맞추어 채워야 합니다. 수돗물 등 일반물은 섞지 마십시오. 일반물은 녹, 광물질, 오염물질 등이 있어서 배터리의 전류를 상승시키고 배터리를 망가뜨립니다.
7. 재충전하기 전에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해야 합니까?
아닙니다. 과도한 방전은 배터리를 손상시키고 극성을 저하시킵니다. deep cycle이나 상업용 배터리는 용량의 80 % 이하로 방전시키지 마십시오. 극성의 역전이 일어 날 수 있고 역전이 일어나면 배터리를 폐기처분해야 합니다. 배터리 충전상태를 좀 더 새롭게 유지하려면 20%선에서 알려주는 한계지시계가 필요합니다. 주변의 서비스센터에서 그런 기기를 설치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8. 방전된 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습니까?
안됩니다. 방전된 배터리의 보관은 납판의 하부에 황을 형성합니다. 이 황 결정체는 판을 점지진적으로 나쁘게 하고 배터리 성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킵니다. 영원한 손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
9. 배터리가 동결될 수도 있습니까?
그럴 수도 있습니다.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거의 방전되면 동결될 수도 있습니다. 충전을 많이 하면 할수록 비중은 더욱더 높아지고 그러면 동결에 저항이 생깁니다. 60% 방전되었을 때 동결온도는 -16도C(3..5도F)입니다. 완전하게 방전된 배터리는 동결온도가 -7도C(19도F)입니다. 배터리를 보관하는 경우는 펄스기를 이용해서 충전을 하고 보관할 것을 권장합니다.
10.충전주기를 변경해도 됩니까?
됩니다. 그러나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충전주기의 변경은 황화의 심화를 가져 올 수도 있습니다.
11. 충전기의 최고 전압을 내리면 배터리의 물의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까?
충전의 긴장을 줄이면 액체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저 충전으로 인한 층화분리현상stratification을 가져올 수도 있고 저 충전으로 인한 배터리수명의 감소를 가져 올 수도 있습니다.
12. 피할 수 있는 실수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가) 저 충전
일반적으로 이것은 충전주기를 지키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충전기가 약해서 적당 충전 기간 동안을 충전해도 충전되지 않을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나) 과 충전
과 충전에 의해서 양극에 손상을 주고 액체의 소모를 증가시킵니다. 영구히 배터리를 망가뜨릴 수도 있습니다.
다) 액체의 부족
액체가 극판위로 10mm이상 채워지지 않으면 절대로 충전하지 마십시오. 액체에 대해서 주시하지 않으면 영원한 손상의 원인이 됩니다. 항상 충전 직후에 액체의 높이를 확인하십시오.
라) 오염된 물
오직 증류수나 인증된 물을 배터리 보충액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수도물 등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그런 물은 철, 녹, 광물질, 그리고 오염 물질이 있어서 배터리 수명과 성능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마) 액체의 넘침
물을 과도하게 채우면 부식성 전해액이 넘치는 원인이 됩니다. 그리고 배터리 부식의 원인이 됩니다. 게다가 과도한 채움은 산을 묽게 희석하게 되고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킵니다
13. 태양광, 풍력 충전기와 사용해도 됩니까?
어떤 응용 장치를 막론하고 납축전지에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14. 12VDC를 240VAC로 바꾸는 인버터를 이 장치가 방해합니까?
아닙니다. 장치를 인버터에 직접 연결해도 됩니다. 그리고 관련 장치에 연결해도 됩니다. TV, computer의 인버터와 같이 사용해도 방해가 되지 않습니다.
15. 얼마나 큰 용량의 배터리까지 작동할 수 있습니까?
500Ah까지를 권장합니다만 어떤 규격의 배터리에도 작동을 합니다. 한계치는 그 기계가 그 용량만큼 탈황한다는 한다는 것입니다. 만일 그보다 크다면 하나의 기기가 처리하는 것 이상은 황화를 가져 올 것입니다.